자유의 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의 소리는 대한민국에서 대북 심리전을 위해 사용된 방송 매체이다. 1962년 방송을 시작하여,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에 따라 중단되었다가 1980년에 재개되었다. 2004년 남북 합의에 따라 방송이 종료되었으나,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FM 방송으로 재개되었고, 2015년에는 확성기 방송이 다시 시작되었다. 2018년 판문점 선언으로 확성기가 철거되었으나, 2024년 북한의 오물 풍선에 대응하여 확성기 방송이 재개되었다. 방송 시간은 하루 20시간이며, K-POP, 뉴스, 북한 날씨 예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폐지된 라디오 방송국 - 경인방송
경인방송은 인천방송으로 개국하여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남부를 방송권역으로 하는 민영방송이었으나, 경영난으로 TV 방송을 종료하고 현재는 FM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며 OBS경인TV와 콘텐츠 교류를 하고 있다. - 2010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경주국악방송
경주국악방송은 2010년 개국한 국악방송의 지역 네트워크 방송국으로, 경주시와 포항시 일부 지역에 FM 107.9MHz를 통해 국악 전문 방송을 송출하며 국악 대중화와 세계화에 기여한다. - 1962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기후 방송
기후 방송은 1962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68년 일본 최초의 UHF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했으며, 기후현 지역의 뉴스, 정보,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사이다. - 1962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KROQ
KROQ는 1972년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에서 시작된 라디오 방송국으로, 1970년대 얼터너티브 록으로 전환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는 얼터너티브 팝을 중심으로 방송한다.
자유의 소리 | |
---|---|
방송 정보 | |
방송 종류 | 대북방송 |
사용 언어 | 한국어 |
개국 | 1970년 |
폐국 | 1973년 |
재개국 | 1982년 |
운영 주체 | 대한민국 |
중단 시기 | 7·4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자 남북 관계를 고려하여 잠시 중단 |
2. 역사
'''자유의 소리'''는 대한민국 국방부가 군사 분계선에 설치한 확성기를 사용하여 북한을 향해 방송하는 것이다. 남북 관계 상황에 따라 방송이 중단된 시기가 있었다. 한국으로 탈북한 여러 전 북한 외교관들은 확성기에서 흘러나오는 한국 노래와 뉴스가 북한군 병사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평가하고 있다[1]。
이에 맞서 북한 측도 자국민에게 시청시키지 않기 위해 기정동(선전마을)에 거대한 확성기를 설치하고 한국 측을 향해 선전 방송을 내보냈다.
자유의 소리는 1962년 방송을 시작하여, 2024년 현재까지 여러 차례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2. 1. 1960년대 ~ 2000년대 초반: 시작과 중단
1962년 대한민국 국방부는 군사 분계선에 설치한 확성기를 사용하여 북한을 향해 방송을 시작하였다.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에 따라 남북 관계를 고려하여 방송을 중단하였다가 1980년에 방송을 재개하였다.2004년 6월 4일 제2차 장성급 군사 회담에서 같은 해 6월 15일부터 군사 분계선에서의 모든 선전 활동을 중지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2004년 6월 14일 방송이 종료되었다.[1]
2. 2. 2010년대 이후: 재개와 중단, 그리고 변화
2010년 5월 24일, 천안함 피격 사건을 계기로 FM 방송 '자유의 소리'가 103.1MHz와 107.3MHz에서 18:00(KST)부터 재개되었다. 이 FM 방송은 2008년 4월에 시작한 단파 방송 "자유의 소리"와는 관련이 없다. 2010년 10월 5일 대한민국 국방부 김태영 장관은 이 FM 방송을 중파 방송으로 전환하는 작전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1]2015년에는 확성기 방송이 재개되었다. 2018년 4월, 남북 정상 간의 판문점 선언에 따라 확성기가 철거되었다. 당시 고정식 확성기 24대와 이동식 확성기 16대가 설치되어 있었다.[2]
2024년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 6월 9일: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에 대응하여 확성기 방송이 재개되었다.[3] 재개 첫날에는 K-POP과 뉴스, 북한의 날씨 예보가 방송되었다.[4]
- 10월 21일: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파병 사실이 북한 내에서 보도되지 않은 단계에서, 이를 북한 주민에게 알렸다.[5]
3. 방송 내용 및 구성
방송 시간은 오후 5시부터 다음 날 낮 1시까지 20시간이다. 과거 FM 방송은 하루 4회(자정~오전 5시, 오전 6시~11시, 낮 12시~17시, 오후 18시~밤 23시) 시행되었다. 서부 및 동부 전선은 101.7MHz (백령도, 대청도 등), 103.1MHz (인천, 경기 서부 및 강릉, 속초 등)에서, 중부 전선은 107.3MHz (서울, 경기 대부분, 강원 영서, 충남 북부, 충북 북부 일부)에서 방송된다.[7]
확성기 방송은 야간에 약 24km, 주간에는 약 10km 떨어진 북한 개성직할시에서도 청취 가능하다.[7] 탈북한 여러 전 북한 외교관들은 확성기에서 흘러나오는 한국 노래와 뉴스가 북한군 병사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평가한다.[1]
3. 1. 프로그램 목록
- 보도광장
- 날씨 전망대 (북한 날씨 예보 포함)
- 북한의 부패와 진실
- 마음의 쉼표
- 시간여행 역사 탐험대
- 함께 떠나는 음악여행 (K-POP 포함)
- 인권 바로알기
- 돋보기로 보는 세상
- 행복한 대한민국
- 폭로 북한 간부 최고 실세들의 내막
- 매일 그대와
- 정보기와 망길리
- 한라에서 백두까지
- 꿈꾸는 청춘극 (평일)
- 산너머 남촌에 (주말)
- 한민족 통일로 미래
- 아는 것이 힘이다
- 우리소리한마당
4. 대북 방송의 영향 및 평가
자유의 소리는 대한민국 국방부가 군사 분계선에 설치한 확성기를 사용하여 북한을 향해 방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남북 관계 상황에 따라 방송이 중단된 시기가 있었다.[1]
4. 1. 긍정적 평가
한국으로 탈북한 여러 전 북한 외교관들은 확성기에서 흘러나오는 한국 노래와 뉴스가 북한군 병사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평가하고 있다.[1]4. 2. 부정적 평가
자유의 소리는 북한의 반발을 초래하고, 남북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북한은 대북 방송에 대해 "최고 존엄 모독"이라며 강하게 반발한다.[1] 이러한 방송은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 실제로 북한은 기정동(선전마을)에 대형 확성기를 설치하고 한국 측에 선전 방송을 송출하여 대응하기도 했다.4. 3. 기타
이에 맞서 북한 측도 자국민에게 시청시키지 않기 위해 기정동(선전마을)에 거대한 확성기를 설치하고 한국 측을 향해 선전 방송을 내보냈다.[1]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金正恩委員長「拡声器フォビア」の根源は…「MZ軍人の動揺が心配」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24-06-03
[2]
웹사이트
拡声器による対北朝鮮宣伝放送 数カ所で実施=韓国軍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4-06-09
[3]
웹사이트
北朝鮮また「ごみ風船」330個 韓国、拡声機での宣伝放送再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06-09
[4]
웹사이트
韓国軍が6年ぶり宣伝放送、拡声機でKポップ…北朝鮮のゴミ風船に対抗措置
https://www.yomiuri.[...]
読売新聞ONLINE
2024-06-09
[5]
웹사이트
金正恩委員長が隠したロシア派兵、韓国軍が拡声器で北朝鮮住民に知らせた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4-10-24
[6]
뉴스
국방부 "24일 18시부터 대북 심리전방송 재개"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5-24
[7]
뉴스
대북 심리전 방송 어떻게 하나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군, 대북 라디오 방송 '자유의 소리'도 15년 만에 중단
군, 대북확성기 이어 '자유의 소리'도 중단…"긴장완화 일환"
대북 방송 ‘자유의 소리’ 15년 만에 꺼졌다…“긴장 완화 조치”
군, 15년 만에 ‘자유의 소리’ 대북 라디오 방송 중단
"북, 행운 믿기 힘들 것"…김정은에게 다가온 '호기' [스프]
[한반도 포커스] "북, 행운 믿기 힘들 것"…38노스, 왜 이런 말을?
단통법 폐지…이통사 '보조금 전쟁' 현실화되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